차례 지방 쓰는 법을 살펴보자.
매년 명절이 다가오면 차례를 지내게 되는데 아침에 꼭 해야 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차례상에 올려야 하는 지방을 작성하는 것이다. 지방의 경우에는 자주 쓰는 것도 아니고 내용도 잘 모르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고 매년 차례 지방 쓰는 법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했었는데 오늘은 한번 학습해보는 의미로 차례 지방 쓰는 법 을 알아보기로 한다.
신위(神位), 지방(紙榜)이란?
원래 신위라 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또는 신주, 위패를 모셔 두는 자리로 예전에는 주로 집에다가 사당을 만들고 역대 조상님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었다고 하는데 세월도 흐르면서 변하고 사당을 만든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요즘에는 많은 가정에서 영정이나 지방으로 대신하고 있다. 지방은 주로 제사 지낼 때에는 사용하는데 조상님을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였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하게 된다. 지방의 내용으로는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조상과의 친속 관계, 조상의 관직(여성의 경우 호봉), 시호(여성의 경우 성씨)등을 나타낸다.
차례 지방 쓰는 법
차례 지방 쓰는 법에서 제사 지방의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로 원칙은 한지를 사용하는 것이나 요즘은 한지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기에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A4용지를 사용해도 된다고 한다. 모든 지방은 고인의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기준으로 작성을 해야 하며 제사는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집에서 지내는 것으로 제주가 되는 사람은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사를 직접 주체하게 된다. 지방은 크게 4가지로 구성되고 있는데 1번 부분은 고인와 제주와의 관계를 적는데 현(顯)은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 글자로 붙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사용하지 않는다.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라고 적고 할아버지는 조고, 할머니는 조비라고 적습니다. 2번 부분은 직위를 뜻하는 부분으로 벼슬을 했을 경우 이름은 쓰고 여자 조상님도 그에 맞게 급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보통 벼슬이 없는 남자의 경우에는 학생(學生), 여자인 경우에는 유인(孺人)이라고 적습니다.반대로 관직에 있던 경우는 관직명을 적는데 학생 대신 처사(處士)라고도 쓰며, 18세 미만에 죽은 자는 수재(秀才)나 수사(秀士)라고 적는다. 3번은 보통 고인의 이름을 적는 곳으로 남자 조상님 같은 경우 모두 부군, 여자 조상님일 경우 본관 성씨를 적습니다. 4번은 조상의 위치를 말한다고 한다.
차례 지방 작성 위치
한 장의 지방에 남, 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 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 조상을 쓰며 세로 쓰기를 한다. 만약 아버지 한분만 제사를 지낸다면 중간에 현고 학생 부군 신위라고 적으면 되고 반대로 어머님 한분만 제사를 지낸다면 현비유인(본관+성씨) 신위라고 적으면 된다. 또한 style="background-color: #ffffff; color: #222222;"> 요즘에는 굳이 한자로 적지 않고 한글로 아버님 신위 또는 어머님 신위라고 쓰기도 한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다.
차례 지내는 순서
첫번째 강신이다. 제주가 향을 피우고,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 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습니다. 2번 절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의 신에게 모삿그릇에 술을 올리는 것은 땅의 신에게 차례를 지내기에 앞서 예를 갖춘다.)두 번째 참신으로 모든 가족이 두 번 절한다. (조상님께 예를 갖추는 것이다.) 세 번째 헌작으로 제주가 직접 술을 따라 올린다. (조상님께 식사하시기에 앞서 술을 올리는 것이다.)네 번째 삽시정저이다. 밥에 숟가락을 꽂고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해 둡니다. (조상님이 식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번째 합문으로 문밖으로 나가 잠시 기다리거나 모두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조상님께서 식사를 하실 때까지 기다린다.)다섯 번째 철시복반으로 숟가락을 닫고 음식의 뚜껑을 닫는다. (조상님께서 식사를 마쳤으므로 음식을 거두는 것이다.) 다섯 번째 사신으로 모두 두 번 절한다. (조상님께 예를 갖추는 것이다.)여섯 번째 철상으로 차례 음식을 상에서 물린다. (상을 물린다.)일곱 번째 음복이다, 제주와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이 음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조상님께서 먼저 식사한 후 후손들이 나눠 먹습니다.)
차례상 놓는 방향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습니다.
- 동두서미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를 서쪽에 놓습니다.
- 좌포우혜 : 왼쪽에 포와 오른쪽에 생선젓을 놓습니다.
- 고서비동 : 신위와 송편 및 술잔은 아버지가 서쪽, 어머니가 동쪽입니다.
- 적전중앙 : 적은 잔을 올릴 때마다 바꿔 올리는 제수의 중심 음식이므로 제상의 중앙(제3열)을 놓습니다.
- 동조서율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에 놓습니다.
- 홍동백서 : 동조 서율을 전제로 한 방법으로 동쪽으로부터 대추, 감, 사과의 순으로 붉은 과실을 놓고 서쪽으로부터 밤, 배의 순으로 흰 과실을 놓으며 중간에는 조과를 놓아 색깔의 현란함을 피합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상에서 조상님쪽이 1 열이고 우리가 절하는 쪽이 5 열이라고 하는데 제주가 제사상을 바라보아 앞쪽이 북(北),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 한다. 1열에는 밥과 국, 송편과 떡국, 시접(젓가락과 수저)을 신위 수대로 올려준다. 설날에는 떡국, 밥과 나물 송편을 올려준다. 2열에는 고기를 구운 육적과 두부를 부친 소적을 놓고, 생선을 구운 어적과 시루떡을 놓습니다. 어동육서와 두동미서 맞춰 상을 차리는데. 어동육서는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 것이고 두동미서는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에 두는 것을 의미합니다.
3열에는 소탕과 육탕, 어탕 등의 탕류들을 놓는데 이것을 삼탕이라고 합니다. 육탕은 육류로 만든 탕이고 소탕은 두부와 채소, 어탕은 어패류 등으로 만든 탕이다. 4열 은서 쪽부터 포로 하고 동쪽 끝에는 식혜를 놓는 좌포우혜로 놓습니다. 나물은 서쪽, 김치는 동쪽에 놓고 건좌습우에 맞춰 올립니다. 건좌습우는 마른 것은 서쪽, 젖은 것은 동쪽에 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5열은 대추로 시작하여 밤, 배 곳감 조율이시 순서로 놓고 이외 과일과 과자 등을 홍동백서에 맞게 놓습니다. 홍동백서는 붉은색은 동쪽 흰색은 서쪽을 의미한다.
차례상 차릴 때 주의사항
첫 번째 '치'로 끝나는 생선으로 끝자리가 '치'자로 끝나는 갈치, 꽁치 등 생선은 본래 성품이 사나운 생선으로 조상님들을 대접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올리지 않는다. 두 번째 팥, 붉은 양념은 올리지 않는다. 붉은색은 귀신을 쫓는다고 하여 팥은 올리지 않는데 같은 이유로 붉은 고춧가루가 들어간 음식도 올리지 않는다. 세 번째 복숭아는 올리지 않는다. 5열의 과일은 홍동백서에 맞게 여러 과일들을 올리셔도 무방하나 복숭아는 예외이다. 복숭아도 마찬가지로 귀신을 쫓는 과일로 귀신들을 내쫓기 위해 복숭아나무 가지를 많이 이용한다. 그래서 복숭아를 올리면 조상을 들일수 없기 때문에 피하는 음식이다.